웃음과망각의책

『번역어성립사정』- 야나부 아끼라

엔디 2004. 2. 14. 02:51
사용자 삽입 이미지
『飜譯語成立事情』
『번역어성립사정』
柳父章, 서혜영 옮김, 일빛.
2003년 4월 1일 초판.

<ㅉ=5>글머리에

이 책에서 다루는 '사회' '개인' '근대' 등의 번역어는 학문과 사상의 기본 용어이면서,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나 신문지면 등에도 자주 나오는 말이다. 그런데도 가정의 거실에서 가족들끼리 또는 직장 동료들끼리 편하게 대화를 할 때에는, 이런 말은 보통 사용하지 않는다. 상당히 교육 정도가 높은 사람의 가정이라 하더라도 그럴 것이다. 만약 편안한 자리에서 누군가가 이러한 말을 입에 올린다면, 주위 사람들이 얼른 자세를 고쳐 앉거나 자리가 썰렁해질지도 모른다. 즉 이런 말은 사용되는 장소가 한정돼 있어서, 일상 생활의 장에서가 아니라, 학교나 활자 속의 세계 혹은 집안이라 해도 공부방에서만 사용된다. 일상어와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 다른 세계의 말이다. 우리들은 생활 속에서 각각의 장면에 따라 이러한 말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난해한 책을 많이 읽은 젊은이라 하더라도 교실이나 친구와 토론하는 자리에서는 어렵고 딱딱한 어감의 말을 자주 입에 올릴지 몰라도, 어머니 앞에서는 그런 말투를 사용하지 않는다.

일본의 학문과 사상의 기본 용어가 일상어와 따로 놀면서 이 책 곳곳에서 지적한 바 여러 가지 왜곡이 따르게 되었다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이렇게 언어가 따로 놀게 된 데에는 한자를 수용하기 시작한 이래 형성된 뿌리 깊은 배경이 있다. 하지만 다른 면에서 보면, 번역어가 일상어와 동떨어져 있는 덕에 근대 이후 서<ㅉ=6>구 문명의 학문과 사상 등을 빨리 받아들일 수 있었던 측면도 있다.

이와 같은 우리들의 숙명적인 사실을 놓고 좋으냐 나쁘냐를 가르기보다는, 우선 사실 그 자체를 알았으면 한다. 그것은 의외로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것이 바로 내가 이 책을 쓴 이유이다.

이 책 앞부분에서 다룬 여섯 개의 용어인 '사회' '개인' '근대' '미' '연애' '존재'는 바쿠후(幕府) 말기에서 메이지(明治) 시대에 걸쳐 번역 과정에서 만들어진 신조어이다. 혹은 실질적으로 신조어와 동등한 말이다. 그 뒤에 다른 네 개의 용어, 즉 '자연' '권리' '자유' '그' ('그녀'는 신조어)는 원래부터 사용되던 일본어로 일상어 속에 살아 있던 말인데, 번역어로서 새로운 의미를 지니게 된 것들이다. 이상 두 가지 경우 번역어가 갖는 문제는 서로 약간의 차이가 있다. 특히 후자와 같이 전래된 일본어를 번역어로 사용했을 경우에는, 서로 다른 뜻이 혼재하면서 상호 충돌하는 문제가 생긴다. 하지만 양자 모두 번역어 특유의 효과로 인해 뜻을 알기 힘들거나 의미를 혼동하게 하는 등의 문제를 똑같이 안고 있다.

번역어의 문제를 다루는 나의 기본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본문 속의 여러 곳에서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것을 모두 모아 '근대'의 제2절 부분에서 종합하여 설명하였다.

이 책에서 다룬 번역어에 대해서는 다른 지면에서도 이야기를 한 바 있다. 그 중 이 책에서 다룬 주제가 처음 나온 문헌은 다음과 같다.

<ㅉ=7>'사회'  저서 『번역이란 무엇인가』, 호세 대학(法政大學) 출판부. 1976년.

'개인'  『문학』1980년 12월호, 이와나미쇼텐(岩波書店)

'근대'  『도서』1981년 1~3월호, 이와나미쇼텐

'미'     『도서』1981년 5~7월호

'연애'  『번역의 세계』1979년 10월호, 일본번역가양성센터

'존재'  『번역의 세계』1980년 8~9월호

'자연'  저서 『번역의 사상』, 헤이본샤(平凡社), 1977년

'권리' '자유' '그, 그녀'  저서『번역이란 무엇인가』

이 책에서는 나의 번역론에서 단어론을 총정리한다는 생각으로 각각의 논문을 상당 부분 손질했다. 또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쉽게 쓰기 위해 노력했다.

이 책이 이렇게 한 권의 책으로 완성되기까지는, 이와나미쇼텐 편집부의 사카마키 카츠미(坂卷克巳) 씨께 도움 받은 바가 크다.

1982년 1월
야나부 아키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