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을 통독한 것이 얼마만일까. 시 한 편을 읽을 여유도 없는 삶이 무척이나 삭막하다. 여유란 시간이 아니라, 마음이니까. 마음이 무겁다. 시를 읽는다는 것이 그렇게 누리는 호사는 아닐까. “의심하는 가운데 잠이 들었다.”
1. 밤/잠
조영석의 시집 『선명한 유령』에서는 줄기차게 ‘밤/잠’이 등장한다. 시란 본래 꿈이고, 꿈은 대개 밤에 자면서 꾸는 것이니까 그다지 새로운 것이 아닐 수 있다. 통속적인 구분도 괜찮다면, 서정 시인은 밤에 시의 행을 늘려가고, 소설가는 낮에 ‘집필실’에서 원고지의 장수를 늘려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서정 시인은 ‘밤’이라는 낱말을 지배한다. 시인은 골방에 들어가거나, 잠깐 눈을 감는 동안에도 밤을 불러낼 수 있는 것이다. 거기서 시인은 ‘지금/여기’가 아니라 ‘언젠가/다른 곳에서’를 상상할 수 있다: 밤은 그런 것이다.
하지만 조영석의 시에서 밤은 불러서 오는 것이 아니고, 잠은 수동적인 것이다. “날이 새면 또 먼 길을 가야” 하기 때문이다(39). 어디로 가는지 독자는 알 수 없다; 아마 시인도 모르기가 쉽다. 이인성이 “그때, 그가 돌아오려 했던 곳은 어디인가? 여기인가? 그렇다면, 여기서, 그가 여전히 돌아가려 했던 곳은 어디인가?”라고 인상적인 첫 연작 소설을 시작했던 것처럼, 그리고 프로스트R. Frost가 “Miles to go before I sleep, / And miles to go before I sleep.”이라고 되풀이하여 되뇌었던 것처럼. 서정 시인들이 ‘밤’을 불러내어 ‘다른 곳’을 상상한다면, 조영석에게 ‘밤’은 오는 것이고, ‘다른 곳’은 가야 할 곳이다; 그의 시는 쓴 것이 아니라 쓰인 것이다. 그러므로 때로 그에게 잠은 ‘졸음’의 형태로 나타난다(42-43). 한국어의 관용구에서 나타나듯이 졸음은 ‘오는’ 것이다. 시인은 어디로 가야 하는 것일까? 그곳은 도달할 수 있는 곳일까?
2. 죽음
잠과 죽음의 차이는 어느 정도일까? 열왕기는 왕의 죽음을 묘사하면서 “자다sleep”라는 움직씨動詞를 즐겨 사용한다: “다윗이 그 열조와 함께 누워자서 다윗성에 장사되니So David slept with his fathers, and was buried in the city of David(개역한글판/KJV).” 잠과 죽음의 유사성에 주목한 셰익스피어는 로미오와 줄리엣에게 일어난 비극적인 사건을 그리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잠과 죽음의 가장 큰 공통점은 ‘오는 것’이라는 점, 곧 우리가 제어할 수 없는 것이라는 점이다.
시 「거대한 잠」은 시간에 묻혀 죽은 두 공룡에 대한 이야기이다: “육식 공룡 두 마리 / 얼굴을 마주 보며 잠들어간다.”라는 행들과 “그들만의 긴 빙하기 속으로 / 쓸쓸한 공룡 두 마리 얼어간다.”라는 행들은 분명히 같은 위상을 점하고 있다. 백악기가 끝나고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등장하는 시기, 한 시대의 죽음을 시인은 그리고 있는 것이다. 공룡이 등장한 이유는 ‘지금/여기’에는 없는 것들이기 때문이다. 시집 전체를 통해 공룡의 변형을 우리는 많이 찾을 수 있다: 가령 시베리안허스키가 그렇다(30-31). 허스키는 거기서 아이를 죽인 죄로 처형된다. 허스키가 아장아장 다가온 아이를 물어 죽인 이유는 무엇일까? 햇볕이 너무 강렬해서? (그리하여 이방견은 삶의 부조리를 발견하고 끝내 처형당하고 말았던 것이다...)
조영석의 시에서 죽음은 화장火葬이나 풍장風葬이 아니라 매장埋葬이다; 화장이 영혼을 자유롭게 날려 보내는 것이고, 풍장이--황동규에게서 보이듯이--삶/죽음의 경계를 지워 죽음의 고통을 극복하려는 것이라면, 매장은 일종의 가두는 행위이다. 사람은 죽는 순간 수인囚人이 되는 것이다: 땅의 수인. 그러므로 “매일 이 땅의 주인에게 사표를” 쓰지만 그 사표는 수리되지 않는다. 수리되지 않을 것을 알기에 스스로 찢어버린다(64-65).
3. 하강下降
조영석의 시에서 죽음이란 매장이므로, 죽음이 하강의 이미지를 갖는 것은 당연하다. (불어에서 무덤tombe은 떨어지다tomber와 닮았다.) 앞에서 고찰한 잠에 대해 말하더라도, 한국어의 ‘곯아떨어지다’나 영어의 ‘fall asleep’에서 우리는 잠이 갖는 하강의 이미지를 밝히 알 수 있다. 그의 시는 바슐라르가 말하는 만큼 ‘역동적dynamique’이지 않다. 그의 시는 침잠하고 있다. “누이의 연애는 아름다워도 될까 / 의심하는 가운데 잠이 들었다.”
때때로 상승을 뜻하는 낱말이 발견되지만, 오히려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올라가는 것과 날아가는 것들은 이런 것들이다: “담배 연기를 피워 올리고 있다”(29), “주인 사내가 그물로 놈을 건져 올린다”(35), “씹다 버린 풀들이 바람에 실려 날아가고”(41), “살얼음을 깨고 썩지 않은 시체를 건져 올리는 날이면”(59), “뿌리를 통해 꾸역꾸역 올라오는 검은 물들이 보인다”(74). 그리고 날아오르는 것들은 결국 땅에 떨어지게 되어 있는 것이다: “물이 솟았다 떨어진다.”(110) 궁극적으로 상승을 가능케 하는 것, 모든 운동 에너지의 원천인 태양빛부터 적敵으로 설정되어 있다(30, 80).
하강의 이미지는 무거움에 대한 상상력이다. 시집 맨 처음을 열면 생生이 얼마나 무거운가 하는 뼈아픈 자각이 있다. 작은 새를 보고, 불쌍히 여겨 새의 무게만큼 자기 몸을 내어주고 새를 살리려던 이가, 결국 자신의 온몸을 다 올리고서야 새와의 천칭의 균형이 맞았다는 불교의 설화를 우리는 알고 있다. 조영석의 시에서 새가 잠자리로 대치되어 있지만, 결국 시인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생의 무게라는 것을 우리는 역시 알고 있다.
시인이 이 생의 무게를 민감하게 느끼는 것은 그가 다른 별에서 왔기 때문이다. 그는 본래 “지구보다 조금 가벼운 별”에서 살았다. 만유인력 인데, 여기서 G는 만유인력 상수이고 시인의 질량(m)은 같기 때문에, 만유인력 F는 행성 또는 별의 질량(M)에 비례한다. 지구보다 가벼운 별에서 살았다면 시인이 느끼는 만유인력의 크기는 아마 지금보다 작았을 것이다. 시인은 행성 지구에 살게 되면서 전에 없던 무거움을 느끼기 시작한 것이다.
모든 인간은 결국 수인이다(43). 나는 처음에 조영석에게 시는 쓴 것이 아니라 쓰인 것이라고 말했다. 수인이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쑥과 마늘을 100일 동안 먹어야 하는가(69). 소행성으로 돌아가야 하는가(65). 아니, 시를 써야 한다. 조영석에게 시는 인간으로서의 존재 이유raison d’être에 해당하는 것이다.
4. 무거움
시인은 무거움을 항상 느낀다. 하지만 그 가운데 가장 우리의 주목을 끄는 것은 돈에 대한 인식이다. 돈은 인간의 존재를 무겁게 만들며, 인간을 자기 아래에 복속시키고 수인으로 만든다(18, 29, 36-37, 89). 무거운 것은 값이 싸다(67). 시인은 이제 무거움의 사회적 차원을 느낀다. 돈에 의해 승부가 결정되는 사회는 권투와도 같은 경쟁 사회이다(88-90). 사실 권투는 쇼다; 각본이 정해져 있다는 뜻에서 쇼라는 것이 아니라, 그 경기 결과가 직접적으로 만드는 사회 현상이 없다는 점에서 그렇다. 시인이 “이것은 쇼가 아니다”라고 두 번 강조한 것은 그 권투가 달이 아니라 손가락이라는 뜻이다. 경쟁 사회에서는 ‘나’는 없고, 오로지 ‘조직’만이 있을 뿐이다. 사람들은 거기에서 돈이 나오기 때문에 ‘조직’의 쓴맛을 보면서도 꾹 참고 경쟁한다. 조영석의 시에 때로 ‘가장家長’이 등장하는 이유도, 실제로 아직까지 한국 사회를 지배하는 가부장제 아래에서는, 가장의 죽음이야말로 가장 작은 사회--가족--의 죽음을 여실히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이다(94-95).
여기에 이르러 조영석은 ‘지금/여기’의 문제로 되돌아오는 셈이다. 시 한 편을 읽을 여유도 없는 삭막한 삶이 조영석의 시 옆에서 추문으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또다른, 시인의 존재 이유이다, 시를 쓸 이유이다.
1. 밤/잠
조영석의 시집 『선명한 유령』에서는 줄기차게 ‘밤/잠’이 등장한다. 시란 본래 꿈이고, 꿈은 대개 밤에 자면서 꾸는 것이니까 그다지 새로운 것이 아닐 수 있다. 통속적인 구분도 괜찮다면, 서정 시인은 밤에 시의 행을 늘려가고, 소설가는 낮에 ‘집필실’에서 원고지의 장수를 늘려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서정 시인은 ‘밤’이라는 낱말을 지배한다. 시인은 골방에 들어가거나, 잠깐 눈을 감는 동안에도 밤을 불러낼 수 있는 것이다. 거기서 시인은 ‘지금/여기’가 아니라 ‘언젠가/다른 곳에서’를 상상할 수 있다: 밤은 그런 것이다.
하지만 조영석의 시에서 밤은 불러서 오는 것이 아니고, 잠은 수동적인 것이다. “날이 새면 또 먼 길을 가야” 하기 때문이다(39). 어디로 가는지 독자는 알 수 없다; 아마 시인도 모르기가 쉽다. 이인성이 “그때, 그가 돌아오려 했던 곳은 어디인가? 여기인가? 그렇다면, 여기서, 그가 여전히 돌아가려 했던 곳은 어디인가?”라고 인상적인 첫 연작 소설을 시작했던 것처럼, 그리고 프로스트R. Frost가 “Miles to go before I sleep, / And miles to go before I sleep.”이라고 되풀이하여 되뇌었던 것처럼. 서정 시인들이 ‘밤’을 불러내어 ‘다른 곳’을 상상한다면, 조영석에게 ‘밤’은 오는 것이고, ‘다른 곳’은 가야 할 곳이다; 그의 시는 쓴 것이 아니라 쓰인 것이다. 그러므로 때로 그에게 잠은 ‘졸음’의 형태로 나타난다(42-43). 한국어의 관용구에서 나타나듯이 졸음은 ‘오는’ 것이다. 시인은 어디로 가야 하는 것일까? 그곳은 도달할 수 있는 곳일까?
2. 죽음
잠과 죽음의 차이는 어느 정도일까? 열왕기는 왕의 죽음을 묘사하면서 “자다sleep”라는 움직씨動詞를 즐겨 사용한다: “다윗이 그 열조와 함께 누워자서 다윗성에 장사되니So David slept with his fathers, and was buried in the city of David(개역한글판/KJV).” 잠과 죽음의 유사성에 주목한 셰익스피어는 로미오와 줄리엣에게 일어난 비극적인 사건을 그리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잠과 죽음의 가장 큰 공통점은 ‘오는 것’이라는 점, 곧 우리가 제어할 수 없는 것이라는 점이다.
시 「거대한 잠」은 시간에 묻혀 죽은 두 공룡에 대한 이야기이다: “육식 공룡 두 마리 / 얼굴을 마주 보며 잠들어간다.”라는 행들과 “그들만의 긴 빙하기 속으로 / 쓸쓸한 공룡 두 마리 얼어간다.”라는 행들은 분명히 같은 위상을 점하고 있다. 백악기가 끝나고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등장하는 시기, 한 시대의 죽음을 시인은 그리고 있는 것이다. 공룡이 등장한 이유는 ‘지금/여기’에는 없는 것들이기 때문이다. 시집 전체를 통해 공룡의 변형을 우리는 많이 찾을 수 있다: 가령 시베리안허스키가 그렇다(30-31). 허스키는 거기서 아이를 죽인 죄로 처형된다. 허스키가 아장아장 다가온 아이를 물어 죽인 이유는 무엇일까? 햇볕이 너무 강렬해서? (그리하여 이방견은 삶의 부조리를 발견하고 끝내 처형당하고 말았던 것이다...)
조영석의 시에서 죽음은 화장火葬이나 풍장風葬이 아니라 매장埋葬이다; 화장이 영혼을 자유롭게 날려 보내는 것이고, 풍장이--황동규에게서 보이듯이--삶/죽음의 경계를 지워 죽음의 고통을 극복하려는 것이라면, 매장은 일종의 가두는 행위이다. 사람은 죽는 순간 수인囚人이 되는 것이다: 땅의 수인. 그러므로 “매일 이 땅의 주인에게 사표를” 쓰지만 그 사표는 수리되지 않는다. 수리되지 않을 것을 알기에 스스로 찢어버린다(64-65).
3. 하강下降
조영석의 시에서 죽음이란 매장이므로, 죽음이 하강의 이미지를 갖는 것은 당연하다. (불어에서 무덤tombe은 떨어지다tomber와 닮았다.) 앞에서 고찰한 잠에 대해 말하더라도, 한국어의 ‘곯아떨어지다’나 영어의 ‘fall asleep’에서 우리는 잠이 갖는 하강의 이미지를 밝히 알 수 있다. 그의 시는 바슐라르가 말하는 만큼 ‘역동적dynamique’이지 않다. 그의 시는 침잠하고 있다. “누이의 연애는 아름다워도 될까 / 의심하는 가운데 잠이 들었다.”
때때로 상승을 뜻하는 낱말이 발견되지만, 오히려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올라가는 것과 날아가는 것들은 이런 것들이다: “담배 연기를 피워 올리고 있다”(29), “주인 사내가 그물로 놈을 건져 올린다”(35), “씹다 버린 풀들이 바람에 실려 날아가고”(41), “살얼음을 깨고 썩지 않은 시체를 건져 올리는 날이면”(59), “뿌리를 통해 꾸역꾸역 올라오는 검은 물들이 보인다”(74). 그리고 날아오르는 것들은 결국 땅에 떨어지게 되어 있는 것이다: “물이 솟았다 떨어진다.”(110) 궁극적으로 상승을 가능케 하는 것, 모든 운동 에너지의 원천인 태양빛부터 적敵으로 설정되어 있다(30, 80).
하강의 이미지는 무거움에 대한 상상력이다. 시집 맨 처음을 열면 생生이 얼마나 무거운가 하는 뼈아픈 자각이 있다. 작은 새를 보고, 불쌍히 여겨 새의 무게만큼 자기 몸을 내어주고 새를 살리려던 이가, 결국 자신의 온몸을 다 올리고서야 새와의 천칭의 균형이 맞았다는 불교의 설화를 우리는 알고 있다. 조영석의 시에서 새가 잠자리로 대치되어 있지만, 결국 시인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생의 무게라는 것을 우리는 역시 알고 있다.
시인이 이 생의 무게를 민감하게 느끼는 것은 그가 다른 별에서 왔기 때문이다. 그는 본래 “지구보다 조금 가벼운 별”에서 살았다. 만유인력 인데, 여기서 G는 만유인력 상수이고 시인의 질량(m)은 같기 때문에, 만유인력 F는 행성 또는 별의 질량(M)에 비례한다. 지구보다 가벼운 별에서 살았다면 시인이 느끼는 만유인력의 크기는 아마 지금보다 작았을 것이다. 시인은 행성 지구에 살게 되면서 전에 없던 무거움을 느끼기 시작한 것이다.
모든 인간은 결국 수인이다(43). 나는 처음에 조영석에게 시는 쓴 것이 아니라 쓰인 것이라고 말했다. 수인이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쑥과 마늘을 100일 동안 먹어야 하는가(69). 소행성으로 돌아가야 하는가(65). 아니, 시를 써야 한다. 조영석에게 시는 인간으로서의 존재 이유raison d’être에 해당하는 것이다.
4. 무거움
시인은 무거움을 항상 느낀다. 하지만 그 가운데 가장 우리의 주목을 끄는 것은 돈에 대한 인식이다. 돈은 인간의 존재를 무겁게 만들며, 인간을 자기 아래에 복속시키고 수인으로 만든다(18, 29, 36-37, 89). 무거운 것은 값이 싸다(67). 시인은 이제 무거움의 사회적 차원을 느낀다. 돈에 의해 승부가 결정되는 사회는 권투와도 같은 경쟁 사회이다(88-90). 사실 권투는 쇼다; 각본이 정해져 있다는 뜻에서 쇼라는 것이 아니라, 그 경기 결과가 직접적으로 만드는 사회 현상이 없다는 점에서 그렇다. 시인이 “이것은 쇼가 아니다”라고 두 번 강조한 것은 그 권투가 달이 아니라 손가락이라는 뜻이다. 경쟁 사회에서는 ‘나’는 없고, 오로지 ‘조직’만이 있을 뿐이다. 사람들은 거기에서 돈이 나오기 때문에 ‘조직’의 쓴맛을 보면서도 꾹 참고 경쟁한다. 조영석의 시에 때로 ‘가장家長’이 등장하는 이유도, 실제로 아직까지 한국 사회를 지배하는 가부장제 아래에서는, 가장의 죽음이야말로 가장 작은 사회--가족--의 죽음을 여실히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이다(94-95).
여기에 이르러 조영석은 ‘지금/여기’의 문제로 되돌아오는 셈이다. 시 한 편을 읽을 여유도 없는 삭막한 삶이 조영석의 시 옆에서 추문으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또다른, 시인의 존재 이유이다, 시를 쓸 이유이다.
선명한
유령 조영석 지음/실천문학사 |
'타오르는책 >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과 기억 속 재편되는 계급: 박주택 『시간의 동공』 (2) | 2009.11.09 |
---|---|
김수영과 언론 자유: 시 「'金日成萬歲'」에 부쳐 (6) | 2008.06.02 |
노시인老詩人의 오만: 정현종의 북핵 시 (0) | 2006.10.29 |
현재 진행형의 변신: Ovidius『변신 이야기』 (0) | 2006.07.31 |
눈보라와 기다림, 그 가능성: 황동규의 초기시 (0) | 200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