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오르는책/소설

소비에트판 집없는 아이: 오스뜨로프스끼『강철은 어떻게 단련되었는가』

엔디 2003. 6. 20. 21:13
최인훈의 『회색인』에는 독고준이 『강철은 어떻게 단련되었는가』에 대해 나름대로 평가하는 부분이 나온다. 아마도 작가 자신의 생각을 많이 투영하고 있을 그 평가는 이렇다:

그가 요즈음 읽고 있는 책은 『강철은 어떻게 단련되었는가』였다. 유명한 소련 작가의 그 소설은 러시아 제정 끝무렵에서 시작하여 소비에트 혁명, 그 뒤를 이은 국내 전쟁을 통하여 한 소년이 어떤 모험과 결심, 교훈과 용기를 통해서 한 사람의 훌륭한 공산당원이 되었는가를 말한 일종의 성장소설(成長小說)이었다. 그러나 그가 공산당원이라든가 짜르 정부가 얼마나 혹독했는가는 아무래도 좋았다. 소설의 처음부터 독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주인공 소년의 익살스럽고 착한 성격이, 그리고 황폐해가는 농촌과 도시의 눈에 보이는 듯한 그림, 주인공의 바보같이 순진한 사랑, 그러한 것이 준의 마음에 들었다. 그것은 다름아닌 『집없는 아이』의 소비에트판 번안이었다.

- 최인훈,『회색인』재판, 문학과지성사, 1991, 38쪽.

회색인
최인훈 지음/문학과지성사

『집 없는 아이』의 번안이라는 표현은 독창적이면서도 충분히 타당한 비교일 수 있겠지만, 그러나 '성장소설'이라는 말과 같은 무게는 이 소설에서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소설이 단순히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면, 이 책은 소설이 아니다. 더군다나 '성장소설'은 더욱 아니다. 성장소설은 독일어 Bildungsroman의 번역이고 Bildung을 '교양'이라고도 새긴다는 점을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강철…』은 주인공인 꼬르차긴의 내적 갈등이 전혀 없다는 점에서 훌륭한 소설로부터 상당히 떨어져 있다. 주인공은 볼셰비끼 혁명이 일어나던 시기부터 이미 훌륭한 공산당이었고, 한 번도 그 입장은 변하지 않는다. 멘셰비끼의 입장에 선 적도 없고, 뜨로츠끼 파들에 대한 비판들이 제기되던 때도 그는 당연히 볼셰비끼의 편에 선다. 왜 그랬을까? 모른다. 책의 어디에도 그것은 나오지 않는다. 하긴 주인공이 나이가 기껏해야 스무 살 안팎이니 맑스-레닌주의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하기는 어렵다. 더구나 그는 소학교 3학년까지밖에 다니지 않아 제대로 된 러시아어 문법도 잘 모르는 수준이었으니까 말이다.

「꼬르차긴 동무! 당신에게는 대단한 자질이 있어요. 계속 이 일에 몰두한다면 당신은 앞으로 문학 일꾼이 될 수 있겠어요. 하지만 지금 당신은 철자법에 맞지 않게 쓰고 있어요. 논문으로 보건대 당신은 러시아어를 모르고 있는 것 같아요. […]」

- 『강철…』, 열린책들, 1990, 492-493쪽.

결국 이 책은 하나의 이야기책에 불과한 정도의 글이 되어버렸다. 다른 말로 하자면, 약간은 감상적이고 약간은 의욕적인, 훌륭한, 긴 글이다. 이것은 내가 이 책에 대해 하는 '혹평'이지만 오스뜨로프스끼의 입장에서 볼 때는 칭찬으로 들릴 지도 모른다.

오스뜨로프스끼에게 문학은 사회주의 혁명과 그 건설을 위한 투쟁에 복무하는 <무기>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 자기의 창작 보고서에 그는 이렇게 언급하고 있다. <삶은 모든 전선에 걸쳐 공세로 나아가고 있는 프롤레타리아의 대열로 나를 복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무기를 확보하라는 과제를 내 앞에 제기하고 있었다.> 현역전사로서 사회주의 건설투쟁에 참여할 수 없었던 국내전의 전사는 결국 <문학>이라는 무기를 통해 그 뜨거운 열망을 성취하기에 이르른 것이다.

-김규종, 「역자후기」, 『강철…』, 526-527쪽.


예술을 어떤 다른 목적에 종속시키려는 시도는 거의 필연적으로 그 예술성에 대한 상처를 생기게 하는 것이다.



특기할 점.

옮긴이 김규종은 책 뒷부분의 약력에 따르면 책이 출간될 당시인 1990년에 베를린 자유대학 슬라브학과 박사과정에 있던 학생인데, 그가 책의 중간중간에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단 역자주석의 논조를 보면 그는 레닌주의와 스딸린주의를 충실히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원주가 아닌) 그가 단 주석의 상당수는 글의 전개와 크게 관계있지 않은, 그의 '주장'이 담긴 글이었던 것이다.

예)
[…] 따라서 스딸린을 오늘날의 <실존 사회주의> 국가들에서 발생하고 있는 모든 문제의 정점으로 매도하는 것은 피상적인 관점으로 비판받아야 마땅하리라 생각된다. 결국 <빛>과 <어둠>, <긍정>과 <부정>, <선>과 <악>은 일면적이거나 단선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그 모든 것은 언제나 <쥐포의 양면>처럼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이런 역사적인 맥락없는 스딸린 비판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강철…』, 508-509, 난하주.




강철은 어떻게 단련되었는가
니꼴라이 오스뜨로프스끼 지음, 김규종 옮김/열린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