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오르는책/소설

베스트셀러와 오역: 리동혁『삼국지가 울고 있네』

엔디 2004. 1. 11. 22:10
이문열 평역 삼국지의 잘못옮긴 부분을 지적하고, 삼국지와 관련된 속설들을 소개하는 책이다. 책 자체의 목적이 앞의것에 있었고 서문이나 책겉의 광고글도 모조리 앞엣것에 대한 것이지만, 뒤엣것도 사실 상당한 분량을 차지한다. 특히 『유세명언喩世明言』이라는 소설집에 실렸다는, 사마모가 한나라 건국시의 영웅들을 삼국시대에 등장시켰다는 이야기는 상당히 흥미있는 이야기거리다. 이를테면, 한 고조를 도와 한나라의 건국공신이 되었던 한신이 억울한 죽음을 당했으니 후한 말에 조조로 다시 태어나게 하고, 한 고조 유방은 헌제로 다시 태어나게 한다고 사마모가 염라대왕을 대신하여 판결한다는 식이다.

책의 앞부분은 역시 이문열 삼국지의 틀린 부분을 지적하는데 많은 힘을 쏟는다. 이문열이 터무니없게 옮긴 부분은 생각보다 많았다. 가령, 고대 중국어에서 "무장대소撫掌大笑"는 본래 박장대소와 같은 뜻인데 이를 "손바닥을 쓸며 크게 웃었다"라고 옮긴 부분은 현대 중국어에서도 무撫가 애무愛撫와 같이 "쓰다듬다"는 뜻으로 자주 쓰이니까 그렇다 하더라도, 춘추 시대 초나라의 성득신成得臣을 "일껏 얻은 신하"라고 한다든가, "예양중인국사지론豫襄衆人國士之論"은 "예양의 중인국사론"이라는 뜻인데 "국사國士"를 아예 빼먹고 "예·양 땅의 사람들이 하는 말"이라고 옮긴 것 등은 옮기는 이의 성실성을 망각한 처사라 할 만하다. 성득신이라는 사람은 본래 중국 역사나 역사소설을 그다지 많이 읽지 않은 나는 모르니까 뭐라고 할 말이 없지만, 예양은 사마천 『사기史記』 '자객열전'에 나오는 가장 유명한 인물인데 이를 잘못 옮긴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유종호 선생은 『시란 무엇인가』의 「숨어있는 부호」에서 '숨어있는 부호'를 읽지 못하면 "두세 겹의 목소리와 울림"을 읽지 못한다고 했다. 유종호 선생이 직접 예를 들고 있듯이 그리스도가 "엘리엘리라마사박다니"한 것을 당시 사람도 못 알아들었는지 "이 사람이 엘리야를 부른다"(마태복음 27:47)라고 하지만, 사실은 시편 22편 1절의 "내 하나님이여 내 하나님이여 어찌 나를 버리셨나이까"라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이 말을 알지 못하면 이성복의 「정든 유곽에서」의 "엘리, 엘리 죽지 말고 내 목마른 裸身에 못박혀요 / 얼마든지 죽을 수 있어요 몸은 하나지만 / 참한 죽음 하나 당신이 가꾸어 꽃을 / 보여 주세요 엘리, 엘리 당신이 昇天하면 / 나는 죽음으로 越境할 뿐 더럽힌 몸으로 죽어서도 / 시집 가는 당신의 딸, 당신의 어머니"를 이해할 수 없다.

또, 나귀의 얼굴에 '제갈자유諸葛子瑜'라고, 얼굴이 길기로 유명했던 제갈근의 성과 자字를 써놓으니 그 아들인 제갈각이 거기다 "지려之驢"라고 써서 아버지의 명예를 구했다는 것이, 나귀를 노새라고 옮기는 바람에 성적인 농담이 되어버렸다는 것도 흥미있는 이문열의 오류다.

삼국지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번 읽어보면 재미있을 것 같다. 저자는 전문 한학자도 아니고 대학을 나온 사람도 아니지만, 삼국지를 열렬히 좋아하는 재중동포라는 조건이 읽기 괜찮은 책을 낼 수 있게 한 듯 싶다. 사실관계를 밝히거나 새로운 것을 알려주는 책에 적극적인 의미의 '평評'을 하기는 힘들다. 장점이라면, 지나치게 긴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개 원문을 소상히 인용하여 오류를 지적함으로써 독자가 어느 부분이 잘못 옮겨진 부분인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는 점이다. 글로 옮기는 과정에서 상투적인 비유나 과장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눈감아줄만한 정도다.


삼국지가 울고 있네
리동혁 지음/금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