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7

합리성의 보루와 그 한계: 복거일『소수를 위한 변명』

2, 3일간 틈나는 대로 복거일의 『소수를 위한 변명』을 읽었다. 아마 출판해인 1997년 이전에 신문이나 잡지에 게제된 글을 모은 책일 것이고, 그런 글들이 시사時事적인 부분과 관련이 없을 수는 없겠지만, 그럼에도 현재적으로도 꽤나 중요한 글들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각각 독립된 글들이라 중복되는 부분도 얼마간 있었지만 책 전체를 꿰뚫는 생각은 자유주의와 합리성이었다. 모든 분야를 경제적 자유주의와 합리주의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모습이 일관성이 있고, 끌리기까지 했다. 교장의 권위주의적인 태도가 문제가 되어 기간제 교사가 피해자인 것이 분명한 사건임에도 죽음 앞에서는 시야가 흐릿해지는 사회를 보면서 많이 답답해져 있던 터라 그런 합리적인 판단을 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근간으로 ..

언론은 언론 시장에서 판단받는다?

노무현 대통령이 4월 초 국정연설에서 '족벌언론', '견제받지 않은 권력'이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일부 언론들을 비판했다. 이에 대해 '일부 언론'은 물론이고 비교적 '친노'했던 언론들까지도 일제히 비판의견을 냈다. '일부 언론'들에서는 언론학자들을 동원해 '언론은 독자와 시청자들로부터 매일 심판을 받는다'는 인용까지 하면서 노무현의 의견을 비판했다. 맞는 말이다.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옳은 말이다. 문제는, 그게 실험실에서만 그렇다는 것이다. "물은 0℃에서 얼고 100℃에서 끓는다." 우리가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실제로는 물이 0℃에서 얼지도 않고 100℃에서 끓지도 않는 경우도 많다.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마찬가지지만 등산이라도 한 번 해본 사람은 그 차이를 더욱 잘 알고 있다. 이 경우,..

모두 가해자: 대구 지하철 참사에 대해

대구 지하철 참사는 과장을 하나도 보태지 않고 '아비규환阿鼻叫喚'이라는 말을 직접 쓸 수 있을 정도의 큰 재난이었다. 시신은 뭉개져 몇 구인지도 알 수 없을 정도로 탔다. 뼈속까지 탄 시신은 유전자 감식을 통해서도 신원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유족들의 반응도 슬픔이라는 말보다는 오열이라는 말이 어울릴 것이다. 내가 아는 친인척들, 친구들은 사고를 당한 사람이 없다. 그런 사람이 있다면 아마 이 글을 쓰지 못할 것이다. 그렇지만 나는 이 글을 써야 한다고, 꼭 써야한다고 느꼈다. 방화범을 어떻게 죽이면 딱 좋을까를 이야기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그랬다. 방화범은 나쁜 사람이라는 1차원적인 발상만이 떠돌고 있다. 신문을 보니 방화범이 신병(뇌졸중)을 앓기 전까지는 성실하고 착한 사람이었다..

병신, 장애인, 애인, 애자, 장애우, …애우?

'병신病身'은 모자란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장애인을 지칭하는 말로 예전에 주로 쓰였고, 욕으로도 쓰였다. (지금도 쓰인다.) 언젠가 병신이라는 말 대신 '장애인'이라는 말을 쓰자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병신은 그 病이라는 글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가치중립적이지 않은 말이다. 욕으로도 쓰이는 현실을 보면 알 수 있다. 반면 장애인은 가치판단이 들어가있지 않은 (혹은 적은) 말이라는 요지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래서 나도 가령 장님, 귀머거리, 벙어리 등과 같은 말 대신 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언어 장애인이라는 말을 의식적으로 써 왔다. (여담이지만 장님, 귀머거리, 벙어리 등이 순 우리말이고 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언어 장애인 등이 모두 한자어라서 조금 껄끄럽기도 했다.) 최소한 나는 ..

TV가 권하는 책읽기의 즐거움, 공허한: MBC !느낌표

문자를 읽지 못하는 것이 '문맹' 이라면, 책 읽지 않는 사회는 '책맹사회' !! '책맹사회'는 '문맹사회'보다 위험합니다. 책을 읽어야 한다는 데에 어떤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을 우리는 볼 수 없다. 책은 '읽어야 하는 것'으로 모두에게 받아들여지면서도 정작 책을 즐겨 읽는 사람은 주변에서 그다지 볼 수 없다. 자신의 무식함을 반 자랑삼아 (농담이겠지만) '잠이 오지 않을 때는 책을 읽는다'는 사람도 종종 있다. 과연 책은 무척 지겹지만 보아야 할 것인가? 책을 읽어야 한다는 모토 아래 MBC의 '!느낌표' 프로그램의 한 코너로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가 계속 방송되어 화제가 되고 있다. 그 프로그램에서 읽자고 제안한 『괭이부리말 아이들』과 『봉순이 언니』는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오가다 그 책을 읽는 ..

상상력의 재미, 즐거움: Goscinny & Uderzo『아스테릭스』

"만화를 왜 읽는가" 하는 것은 어리석은 물음이다. 묻는이가 만화를 한 번도 읽지 않았다면 모르되 그도 만화가 재미있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화가 왜 재미있는가' 하는 물음은 쉽게 대답할 성질의 것이 아니다. 프랑스 만화 '아스테릭스'에는 유쾌한 재미가 있다. 그 재미는, 우데르조의 표현대로라면, 대상을 다르게 바라보는 데서 얻어지는 재미이다. 누가 만화가 상상력을 저하시킨다고 했던가? '아스테릭스'의 즐거운, 뒤집힌 상상력은 창조적 사고의 원천이 될 수도 있다. '아스테릭스'의 특징은 무엇보다 명언과 속담과 관련된 언어유희와 역사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행하는 패러디, 그리고 캐릭터 강한 인물들의 반복되는 행동에 있다고 생각된다. "'아스테릭스'가 왜 재미있는가" 에 대한 ..

나도 도전과 자유는 좋아한다: 1492Miles

나도 도전과 자유는 좋아한다. 특히나 그것이 이룰 수 없는 것일 때에는 '누가 그걸 이룰 수 없다고 했나'하며 거기에 더 도전하는, 나도 역시 젊은인가보다. 역사는 많은 젊은이들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최소한 내가 어릴 적에 읽은 40권짜리 계몽사 세계위인전은 어린 내게 '젊음'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첫 번째 글이 되었었다. 그리고 이제 나는 를 부르고 를 응원가로 외치는 대학생이다. 계몽사 세계위인전에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Cristoforo Colombo가 들어있었다. 그는 신대륙을 발견하려고하는 도전정신과 자유정신으로 꽉 차 있는 사람이었고, 성급하고 겁많으면서 무지하기까지한 사람들의 폭동을 무릅쓰고서 계속 서쪽으로 달려가 서인도제도를 발견한 영웅이었다. 생각해보았다. 나라면 그렇게 할 수 있었을까..

어눌한 달변: 이문열『젊은 날의 초상』

'작가 이문열'의 이름이 씌어진 소설을 사는 것은 내게는 부담스러운 일이었다. 옛적에 읽은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나 「금시조」따위의 소설들의 화려한 내용들 사이에서도 상상력을 결한 그의 작품들은 내게 관념을 주입하기에는 이로웠을 지 모를 정도의 소설이었다. 실제로 「금시조」를 가지고 '미학입문'강의에서 B정도의 학점을 따낸 기말 보고서를 내기도 했다. (매 수업시간마다 잠을 자고 노트필기는 커녕 교재도 제대로 읽지 않은데다가 기말시험에 30분이나 늦었던 것을 헤아린다면 내 보고서가 강의자의 마음에 썩 비켜가지는 않았던 모양이다. 그 보고서는 하드디스크 오류로 사라져버렸다.) 실은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 가진 허무함 때문에 오랫동안 이문열 독서를 기피해왔었다. 그것은 내게 어떤 빚으로 자리잡았던..

프랑스의 언어정책과 한국의 언어정책

I. 서론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지만, 국제 사회에서 영어의 중요성이 점차로 강조되고 있다. 이미 여러 나라에서 영어를 공용어로 지정했으며, 공용어로 지정하지 않은 나라에서도 제 1외국어로 영어를 배우는 비율이 매우 높다(복거일 1998, 170-171). 이 때문에 최근 우리 나라도 '영어공용화론'이라는 논쟁이 있었고, 잠재적으로는 지금도 상반된 주장들이 존재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국제적으로는 영어를 배우는 인구가 점차로 늘고 있지만, 영어를 경계하는 목소리도 높다. 그것은 아마 미국에 대한 견제의 일부일 것이라 생각되는데, 모든 것을 경제의 논리로 환원시키는 신자유주의 논리가 거기에 스며있다. 그러나, 김종명이 인용한 독일 총리 게르하르트 슈뢰더의 "문화를 단순히 경제적 요인으로 격하시켜서는 안..

"보다 나은" 교육개혁을 위하여

- 이정우「교육개혁, 무엇이 잘못되었나」, 『창작과 비평』2001년 봄호 이정우 씨의 「교육개혁, 무엇이 잘못되었나」는 비전공자이기 때문에 가능한, 훌륭한 글이라 생각한다. 교육론은 이상적理想的일 수 있어도, 교육정책은 이상적이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시급한 몇 가지 개혁'부분을 관심있게 읽었다. 거시적 개혁보다 크기는 작으면서도 매우 중요한 개혁들을 내어놓고 있었는데, 현실적인 개혁들이 많이 눈에 띄어서 공감이 많이 갔다. 다만, 국어 교육의 중요성을 조금 간과한 측면이 있어 안타까웠다. 논리력, 추리력, 상상력, 창의력, 감수성 등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문학 교육은 천편일률적인 현재의 교육을 보완하는 것으로 필수적이다. "언제나 옳은" 답만을 배워온 대학 신입생들의 리포트들은 주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