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어릿광대의견해/그말이잎을물들였다

한국어의 국제 기구 공개어 채택과 한글 찬사 사이의 간극

엔디 2007. 9. 29. 15:16
한국어, 최초로 국제기구 공식언어 채택 쾌거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모든 언어가 '도구'로서의 기능만 갖는 것은 아니지만, 일상에서 언어의 타동사적인 측면은 자동사적인 측면보다 훨씬 강조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언어 예술이라고 불리는 문학이나 언어를 통해 내밀한 사유를 하는 철학이 아니라면, 언어는 분명한 목적 의식을 가지고 도구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떤 언어가 다른 언어보다 뛰어나다거나 못하다는 말은 있을 수 없다. 어떤 언어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이유는 분명히 언어 외적인 것이다. 옛적의 중국어, 프랑스어가 그랬고, 지금의 영어가 그렇다.

대학 시절 한 선생님은 대학생들이 소위 '원서'라고 하는 깨알 같은 영미권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그 나라의 학문이 뛰어나기 때문이라고 말씀하셨다. 가령, 심리학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영어로 된 책을 많이 보아야 하는데 그것은 영어가 심리학에 더 적합하기 때문이 아니라 심리학이라는 학문이 영미권 특히 미국에서 발달된 학문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경영학이나 사회학, 정보산업이나 생명공학 등 분야 학문 등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다른 언어도 사정은 비슷해서 대륙법을 배우기 위해서는 독일어를 배워야 하며, 패션 관련 공부를 하기 위해서는 프랑스어나 이딸리아어를 배워야 한다. 선생님은 여기에 한 마디를 덧붙이셨다.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경우가 있는데, 그건 철학 분야에서의 '퇴계학'과 언어학 분야에서 '훈민정음(한글)'이라는 것이다. 그 둘만이 한국이 학문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분야라는 것이다.


한국어가 특허 협력 조약PCT: Patent Cooperation Treaty의 국제 공개어로 채택되었다. 이제는 국제 특허를 출원할 때, 기존의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중국어, 아랍어 등으로 특허 내용을 번역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라고 한다. 특허청 관계자는 한국이 "세계 4위의 특허 출원국이자 세계 5위의 PCT 출원국"이라는 점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아마 그뿐 아니라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인구 수가 6700만으로 세계 16위(Ethnologue 2005 기준)에 달한다는 점도 반영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몇몇 신문이 이를 계기로 한글의 뛰어남을 찬양하고 나섰다는 점이다. 대전일보는 해당 사실을 전하면서 사설을 통해 독일 언어학자 베르너 사세의 한글 찬사와 작가 펄 벅의 한글 찬사를 인용했고, 문화일보 역시 사설을 통해 한글에 대한 칭찬을 싣고 있다. 이러한 무분별한 찬양에는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 하나는 PCT의 국제 공개어로 채택된 것은 '한글'이 아니라 '한국어'라는 점에서 두 신문은 '동문서답'을 하고 있는 셈이라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한국어 또는 한글이 내재적인 우수성으로 인해 PCT에 채택된 것이 아니라 특허 출원 수나 모어 화자의 수가 기준이 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정인지의 말처럼 훈민정음(한글)이 "비록 바람 소리, 학의 울음소리, 닭 우는 소리, 개 짖는 소리일지라도 모두 이 글자를 가지고 적을 수가 있다雖風聲鶴唳鷄鳴狗吠 皆可得而書矣."고 믿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한글의 우수성에 대해서 부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그것 때문에 한글이 PCT 국제 공개어로 채택된 것이 아니라면 그에 대한 말을 할 이유는 없는 것이다.